한글 맞춤법 제4장 형태에 관한 것 제5절 준말 제37항 ‘ㅏ, ㅕ, ㅗ, ㅜ, ㅡ’로 끝난 어간에 ‘-이-’가 와서 각각 ‘ㅐ, ㅖ, ㅚ, ㅟ, ㅢ’로 줄 적 예시 단어 학습

반응형

싸이다

발음 : [싸이다]

품사 : 동사

활용 : 싸이어[싸이어/싸이여](싸여[싸여]), 싸이니[싸이니]

단어 형성 : 파생어

형태소 : [+싸-이_다]

어원 : <이다<월석>←-+-이-


펴이다

발음 : [펴이다]

품사 : 동사

활용 : 펴이어[펴이어/펴이여](펴여[펴여]), 펴이니[펴이니]

단어 형성 : 파생어

형태소 : [+펴-이_다]

어원 : 불명


보이다

발음 : [보이다]

품사 : 동사

활용 : 보이어[보이어/보이여](보여[보여]), 보이니[보이니]

단어 형성 : 파생어

형태소 : [+보-이_다]

어원 : <뵈다<용가>←보-+-이-


누이다

발음 : [누이다]

품사 : 동사

활용 : 누이어[누이어/누이여](누여[누여]), 누이니[누이니]

단어 형성 : 파생어

형태소 : [+누-이_다]

어원 : <누이다<월석>/뉘이다<법화><누다←-+-이-


뜨이다

발음 : [뜨이다]

품사 : 동사

활용 : 뜨이어[뜨이어/뜨이여](뜨여[뜨여]), 뜨이니[뜨이니]

단어 형성 : 파생어

형태소 : [+뜨-이_다]

어원 : 불명


쓰이다

발음 : [쓰이다]

품사 : 동사

활용 : 쓰이어[쓰이어/쓰이여](쓰여[쓰여]), 쓰이니[쓰이니]

단어 형성 : 파생어

형태소 : [+쓰-이_다]

어원 : 불명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