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 맞춤법 제3장 소리에 관한 것 제3절 'ㄷ'소리 받침 예시 단어 학습 내용
[관련 게시물]
2019/02/18 - [어문규범/한글 맞춤법] - 한글 맞춤법 제3장 소리에 관한 것 제3절 'ㄷ'소리 받침
2019/02/18 - [말모이/어문 규범 속 단어] - 한글 맞춤법 제3장 소리에 관한 것 제3절 'ㄷ'소리 받침 예시 단어 학습 내용
덧저고리 돗자리 엇셈 웃어른 핫옷
무릇 사뭇 얼핏 자칫하면 뭇[衆]
옛 첫 헛
덧저고리 돗자리 엇셈 웃어른 핫옷
무릇 사뭇 얼핏 자칫하면 뭇[衆]
옛 첫 헛
덧저고리
발음 : [덛쩌고리]
품사 : 명사
단어 형성 : 파생어
형태소 : 덧 + 저고리
돗자리
발음 : [돋짜리]
품사 : 명사
단어 형성 : 합성어
형태소 : 돗(筵)+자리(席)
어원 : ←돗 [<<월석>] +자리엇셈
발음 : [얻쎔]
품사 : 명사
단어 형성 : 파생어
형태소 : 엇 + 세 + ㅁ
웃어른
발음 : [우더른]
품사 : 명사
단어 형성 : 파생어
형태소 : 웃 + 어른
핫옷
발음 : [하돋]
품사 : 명사
단어 형성 : 파생어
형태소 : 핫 + 옷
무릇
발음 : [무륻]
품사 : 부사
단어 형성 : 단일어
형태소 : 무릇
사뭇
발음 : [사묻]
품사 : 부사
단어 형성 : 단일어
형태소 : 사뭇
얼핏
발음 : [얼핃]
품사 : 부사
단어 형성 : 단일어
형태소 : 얼핏
자칫하면 - 자칫하다
발음 : [자치타면] - [자치타다]
품사 : 부사 - 동사
활용 : <자칫하여/자칫해, 자칫하니> 여 불규칙
단어 형성 : 파생어
형태소 : 자칫 + 하 + 면/다
뭇[衆]
발음 : [묻]
품사 : 관형사
단어 형성 : 단일어
형태소 : 뭇
옛
발음 : [옏ː]
품사 : 관형사
단어 형성 : 단일어
형태소 : 옛
첫
발음 : [첟]
품사 : 관형사
단어 형성 : 단일어
형태소 : 첫
헛
발음 : [헛]
품사 : 접두사
형태소 : 헛
맏이[마지], 맏아들[마다들]
낟[낟ː], 낟알[나ː달], 낟가리[낟ː까리]
곧이[고지], 곧장[곧짱]
맏이
발음 : [마지]
품사 : 명사
단어 형성 : 파생어
형태소 : 맏 + 이
맏아들
발음 : [마다들]
품사 : 명사
단어 형성 : 파생어
형태소 : 맏 + 아들
낟
발음 : [낟]
품사 : 명사
단어 형성 : 단일어
형태소 : 낟
낟알
발음 : [나ː달]
품사 : 명사
형태소 : 낟 + 알
낟가리
발음 : [낟ː까-]
품사 : 명사
단어 형성 : 합성어
형태소 : 낟 + 가리
곧이
발음 : [고지]
품사 : 부사
단어 형성 : 파생어
형태소 : 곧 + 이
곧장
발음 : [곧짱]
품사 : 부사
단어 형성 : 합성어
형태소 : 곧 + 장
돋보다(←도두보다), 딛다(←디디다), 얻다가(←어디에다가)
돋보다(←도두보다)
발음 : [돋뽀다]
품사 : 동사
활용 : <돋보아/돋봐, 돋보니>
단어 형성 : 합성어
형태소 : 돋 + 보 + 다
딛다(←디디다)
발음 : [딛따]
품사 : 동사
활용 : 〔디디어[--어/--여](디뎌), 디디니〕
단어 형성 : 단일어
형태소 : 딛 + 다
얻다가(←어디에다가)
발음 : [얻따가]
품사 : 지시대명사 + 부사격 조사
형태소 : 어디 + 에다가
반짇고리(바느질~) 사흗날(사흘~) 삼짇날(삼질~)
섣달(설~) 숟가락(술~) 이튿날(이틀~)
잗주름(잘~) 푿소(풀~) 섣부르다(설~)
잗다듬다(잘~) 잗다랗다(잘~)
반짇고리(바느질~)
발음 : [반짇꼬리]
품사 : 명사
단어 형성 : 합성어
형태소 : 반짇 + 고리
사흗날(사흘~)
발음 : [사흔날]
품사 : 명사
단어 형성 : 합성어
형태소 : 사흗 + 날
삼짇날(삼질~)
발음 : [삼진날]
품사 : 명사
단어 형성 : 합성어
형태소 : 三짇+날
어원 : ←삼질(三-)+-ㅅ+날 < 삼날섣달(설~)
발음 : [섣ː딸]
품사 : 명사
단어 형성 : 합성어
형태소 : 섣 + 달
숟가락(술~)
발음 : [숟까락]
품사 : 명사
단어 형성 : 합성어
형태소 : 숟 + 가락
이튿날(이틀~)
발음 : [이튼날]
품사 : 명사
단어 형성 : 합성어
형태소 : 이튿 + 날
잗주름(잘~)
발음 : [잗쭈름]
품사 : 명사
단어 형성 : 합성어
형태소 : 잗 + 주름
푿소(풀~)
발음 : [푿쏘]
품사 : 명사
단어 형성 : 합성어
형태소 : 푿 + 소
섣부르다(설~)
발음 : [섣ː뿌르다]
품사 : 형용사
활용 : <섣불러, 섣부르니> 르 불규칙
단어 형성 : 단일어
형태소 : 섣부르 + 다
잗다듬다(잘~)
발음 : [잗따듬따]
품사 : 동사
활용 : 〔-다듬어, -다듬으니〕
단어 형성 : 합성어
형태소 : 잗 + 다듬 + 다
잗다랗다(잘~)
발음 : [잗따라타]
품사 : 형용사
활용 : <잗다래, 잗다라니> ㅎ 불규칙
단어 형성 : 파생어
형태소 : 잗 + 다랗 + 다
밭[받], 빚[빋], 꽃[꼳]
밭
발음 : [받]
품사 : 명사
단어 형성 : 단일어
형태소 : 밭
밭
발음 : [받]
품사 : 접두사
단어 형성 : 단일어
형태소 : 밭
빚
발음 : [빋]
품사 : 명사
단어 형성 : 단일어
형태소 : 빚
꽃
발음 : [꼳]
품사 : 명사
단어 형성 : 단일어
형태소 : 꽃
낫, 빗
걸핏하면 그까짓 기껏 놋그릇 덧셈 빗장
삿대 숫접다 자칫 짓밟다 풋고추 햇곡식
낫
발음 : [낟]
품사 : 명사
단어 형성 : 단일어
형태소 : 낫
빗
발음 : [빋]
품사 : 명사
단어 형성 : 단일어
형태소 : 빗
걸핏하면
발음 : [걸피타면]
품사 : 부사
단어 형성 : 파생어
형태소 : 걸핏 + 하 + 면
그까짓
발음 : [그까짇]
품사 : 관형사
단어 형성 : 파생어
형태소 : 그 + 까짓
기껏
발음 : [기ː껃]
품사 : 부사
단어 형성 : 파생어
형태소 : 기 + 껏
놋그릇
발음 : [녿끄륻]
품사 : 명사
단어 형성 : 합성어
형태소 : 놋+ 그릇
덧셈
발음 : [덛쎔]
품사 : 명사
단어 형성 : 합성어 + 파생어
형태소 : 덧 + 세 + ㅁ
빗장
발음 : [빋짱]
품사 : 명사
단어 형성 : 단일어
형태소 : 빗장
삿대
발음 : [삳ː때]
품사 : 명사
단어 형성 : 합성어
본말 : 상앗대
형태소 : 삿 + 대
숫접다
발음 : [숟쩝따]
품사 : 형용사
활용 : <숫저워, 숫저우니> ㅂ 불규칙
단어 형성 : 파생어
형태소 : 숫 + 접 + 다
자칫
발음 : [자칟]
품사 : 부사
단어 형성 : 단일어
형태소 : 자칫
짓밟다
발음 : [짇빱따]
품사 : 동사
활용 : 〔-밟아, -밟으니, -밟고[밥꼬], -밟는[밤-], -밟지[밥찌]〕
단어 형성 : 파생어
형태소 : 짓 + 밟 + 다
풋고추
발음 : [푿꼬추]
품사 : 명사
단어 형성 : 파생어
형태소 : 풋 + 고추
햇곡식
발음 : [핻꼭씩]
품사 : 명사
단어 형성 : 파생어
형태소 : 햇 + 곡식
'말모이 > 어문 규범 속 단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글 맞춤법 제3장 소리에 관한 것 제4절 모음 제9항 ‘의’나, 자음을 첫소리로 가지고 있는 음절의 ‘ㅢ’ 예시 단어 학습 (0) | 2019.02.18 |
---|---|
한글 맞춤법 제3장 소리에 관한 것 제4절 모음 제8항 ‘계, 례, 몌, 폐, 혜’의 ‘ㅖ’ 예시 단어 학습 내용 (0) | 2019.02.18 |
한글 맞춤법 제3장 소리에 관한 것 제2절 구개음화 예시 단어 학습 내용 (0) | 2019.02.18 |
한글 맞춤법 제3장 소리에 관한 것 제1절 된소리 예시 단어 학습 내용 (0) | 2019.02.18 |
한글 맞춤법 제1장 총칙 예시 단어 학습 내용 (0) | 2019.0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