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준어 사정 원칙 제2장 발음 변화에 따른 표준어 규정 제1절 자음 제6항 다음 단어들은 의미를 구별함이 없이, 한 가지 형태만을 표준어로 삼는다. 예시 단어 학습

반응형


발음 : [돌]

품사 : 명사 / 의존 명사

활용 : 활용 안함

단어 형성 : 단일어

형태소 : [+돌]

어원 : <돐<내훈>


둘째

발음 : [둘ː째]

품사 : 수사 / 관형사 / 명사

활용 : 활용 안함

단어 형성 : 파생어

형태소 : [+둘-째]

어원 : <둘<둘재<둘짜/둘채<둘차<석상>[←둟+-차]/둘차히<석상>[←둟+-차히]


셋째

발음 : [섿ː째]

품사 : 수사 / 관형사 / 명사

활용 : 활용 안함

단어 형성 : 파생어

형태소 : [+셋-째]

어원 : <셋재/섿재<세재<세차<석상>[←세+-차]/세차히<석상>[←세+-차히]


넷째

발음 : [넫ː째]

품사 : 수사 / 관형사 / 명사

활용 : 활용 안함

단어 형성 : 파생어

형태소 : [+넷-째]

어원 : <넷재<네짜 <남명> [←네+-짜] /네차<석상> [←네+-차] /네차히<석상> [←네+-차히]


빌리다

발음 : [빌리다]

품사 : 동사

활용 : 빌리어[빌리어/빌리여](빌려[빌려]), 빌리니[빌리니]

단어 형성 : 파생어

형태소 : [+빌-리_다]

어원 : <빌이다<월곡>←빌-+-이-


열두째

발음 : [열ː뚜째]

품사 : 수사 / 관형사 / 명사

활용 : 활용 안함

단어 형성 : 합성어 + 파생어

형태소 : [+열+두-째]

어원 : <열둘차<석상>[←엻+두+-차]/<열둘차히<월석>[←엻+둘+-차히]


스물두째

발음 :

품사 : 수사 / 관형사 / 명사

활용 : 활용 안함

단어 형성 : 합성어 + 파생어

형태소 : [+스물+두-째]

어원 : 불명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