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준어 사정 원칙 제2장 발음 변화에 따른 표준어 규정 제1절 자음 제7항 수컷을 이르는 접두사는 ‘수-’로 통일한다. 예시 단어 학습

반응형


수꿩

발음 : [수꿩]

품사 : 명사

활용 : 화룡 안함

단어 형성 : 파생어

형태소 : [=수+꿩]

어원 : 불명


수나사

발음 : [수나사]

품사 : 명사

활용 : 활용 안함

단어 형성 : 파생어

형태소 : [=수+螺絲]

어원 : 불명


수놈

발음 : [수놈]

품사 : 명사

활용 : 활용 안함

단어 형성 : 파생어

형태소 : [=수+놈]

어원 : 불명


수사돈

발음 : [수사돈]

품사 : 명사

활용 : 활용 안함

단어 형성 : 파생어

형태소 : [=수+{한국식 한자}査頓]

어원 : 불명


수소

발음 : [수소]

품사 : 명사

활용 : 활용 안함

단어 형성 : 파생어

형태소 : [=수+소]

어원 : <수쇼<훈몽>←숳+쇼


수은행나무

발음 : [수은행나무]

품사 : 명사

활용 : 활용 안함

단어 형성 : 파생어

형태소 : [=수+銀杏+나무]

어원 : 불명


수캉아지

발음 :

품사 : 명사

활용 : 활용 안함

단어 형성 : 파생어

형태소 : [=수+캉아지(강아지)]

어원 : ←숳+강아지


수캐

발음 : [수캐]

품사 : 명사

활용 : 활용 안함

단어 형성 : 파생어

형태소 : [=수+캐(개)]

어원 : <수가히<동의>←숳+가히


수컷

발음 : [수컫]

품사 : 명사

활용 : 활용 안함

단어 형성 : 파생어

형태소 : [=수+컷(것)]

어원 : ←숳+것


수키와

발음 : [수키와]

품사 : 명사

활용 : 활용 안함

단어 형성 : 파생어

형태소 : [=수+키와(기와)]

어원 : ←숳+기와


수탉

발음 : [수탁]

품사 : 명사

활용 : 활용 안함

단어 형성 : 파생어

형태소 : [=수+탉(닭)]

어원 : <수<구방>←숳+


수탕나귀

발음 : [수탕나귀]

품사 : 명사

활용 : 활용 안함

단어 형성 : 파생어

형태소 : [=수+탕나귀(당나귀)]

어원 : ←숳+당+나귀


수톨쩌귀

발음 : [수톨쩌귀]

품사 : 명사

활용 : 활용 안함

단어 형성 : 파생어

형태소 : [=수+톨쩌귀(돌쩌귀)]

어원 : ←숳+돌쩌귀


수퇘지

발음 : [수퇘지]

품사 : 명사

활용 : 활용 안함

단어 형성 : 파생어

형태소 : [=수+퇘지(돼지)]

어원 : ←숳+돼지


수평아리

발음 : [수평아리]

품사 : 명사

활용 : 활용 안함

단어 형성 : 파생어

형태소 : [=수+평아리(병아리)]

어원 : ←숳+병아리


숫양

발음 : [순냥]

품사 : 명사

활용 : 활용 안함

단어 형성 : 파생어

형태소 : [=숫+羊]

어원 : 불명


숫염소

발음 : [순념소]

품사 : 명사

활용 : 활용 안함

단어 형성 : 파생어

형태소 : [=숫+염소]

어원 : 불명


숫쥐

발음 : [숟쮜]

품사 : 명사

활용 : 활용 안함

단어 형성 : 파생어

형태소 : [=숫+쥐]

어원 : 불명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