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준 발음법 제6장 경음화 제27항 관형사형 ‘-(으)ㄹ’ 뒤에 연결되는 ‘ㄱ, ㄷ, ㅂ, ㅅ, ㅈ’은 된소리로 발음한다.

반응형

[관련 게시물]




제27항

관형사형 ‘-(으)ㄹ’ 뒤에 연결되는 ‘ㄱ, ㄷ, ㅂ, ㅅ, ㅈ’은 된소리로 발음한다.

할 것을[할꺼슬]     갈 데가[갈떼가]         할 바를[할빠를]

할 수는[할쑤는]     할 적에[할쩌게]         갈 곳[갈꼳]

할 도리[할또리]     만날 사람[만날싸람]


다만, 끊어서 말할 적에는 예사소리로 발음한다.


[붙임] ‘-(으)ㄹ’로 시작되는 어미의 경우에도 이에 준한다.
할걸[할껄]           할밖에[할빠께]         할세라[할쎄라]
할수록[할쑤록]     할지라도[할찌라도]     할지언정[할찌언정]
할진대[할찐대]




제27항

관형사형 ‘-(으)ㄹ’ 뒤에 연결되는 ‘ㄱ, ㄷ, ㅂ, ㅅ, ㅈ’은 된소리로 발음한다.

할 것을[할꺼슬]     갈 데가[갈떼가]         할 바를[할빠를]

할 수는[할쑤는]     할 적에[할쩌게]         갈 곳[갈꼳]

할 도리[할또리]     만날 사람[만날싸람]


표준 발음법 제27항은 관형사형 어미 중 ‘-(으)ㄹ’ 뒤에서 일어나는 경음화에 대해 규정하고 있습니다.

관형사형 어미라고 하더라도 ‘-(으)ㄹ’이 아닌 ‘-(으)ㄴ’이나 ‘-는’ 뒤에서는 경음화가 일어나지 않습니다. 또한 ‘을’과 같은 목적격 조사 뒤에서도 경음화가 일어나지는 않습니다. 이런 점에서 이 조항의 경음화에는 특수한 제약이 있습니다.

관형사형 어미 ‘-(으)ㄹ’ 뒤에서 경음화의 적용을 받는 것은 크게 명사와 보조 용언의 두 가지로 볼 수 있습니다.

이 조항에 제시된 ‘할 것을[할꺼슬], 갈 데가[갈떼가]’ 등은 명사에 경음화가 적용된 경우입니다. 비록 예로 제시되지는 않았지만 ‘할 듯하다[할뜨타다], 할 성싶다[할썽십따]’와 같이 관형사형 어미 ‘-(으)ㄹ’ 뒤에 ‘듯하다, 성싶다’와 같은 보조 용언이 와도 경음화는 일어납니다.


다만, 끊어서 말할 적에는 예사소리로 발음한다.


[붙임] ‘-(으)ㄹ’로 시작되는 어미의 경우에도 이에 준한다.
할걸[할껄]           할밖에[할빠께]         할세라[할쎄라]
할수록[할쑤록]     할지라도[할찌라도]     할지언정[할찌언정]
할진대[할찐대]

이 외에 [붙임]에는 ‘-(으)ㄹ걸, -(으)ㄹ밖에’ 등과 같이 하나의 어미 안에서 일어나는 경음화의 예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제27항 본항이 관형사형 '-ㄹ' 뒤에서 일어나는 경음화에 대한 규정이라면, [붙임]은 역사적으로 관형사형 '-ㄹ'과 관련이 있지만 지금은 하나의 어미로 쓰이는, '-ㄹ'로 시작되는 어미 안에서 일어나는 경음화를 보충하여 제시한 것입니다.

보조 용언이나 한 어미 안에서 경음화가 적용되는 예들도 역사적으로는 관형사형 어미 ‘-(으)ㄹ’ 뒤에 명사가 결합된 구조이므로 ‘-(으)ㄹ’ 뒤의 명사에 경음화가 적용되는 것과 별반 다를 바가 없습니다.

이러한 경음화의 적용에는 관형사형 어미 ‘-(으)ㄹ’로 끝나는 용언 활용형과 그 뒤에 오는 말의 긴밀도가 중요하게 작용합니다. 즉 두 말이 매우 긴밀하게 이어져 있을 때 경음화가 잘 일어나는 것입니다.

‘-(으)ㄹ’ 뒤에 자립성이 없는 의존 명사가 올 때 경음화가 잘 일어나는 것은 이러한 사실과 관련됩니다.

이 조항의 [붙임] 앞에 있는 ‘다만’에서 끊어서 말할 때 경음화가 일어나지 않는다는 단서를 붙인 것도 이와 무관하지 않습니다. 끊어서 말한다는 것은 긴밀도가 떨어짐을 의미하므로 이러한 경우에는 경음화가 일어나기 어렵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