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준 발음법 제2장 자음과 모음 제4항 ‘ㅏ ㅐ ㅓ ㅔ ㅗ ㅚ ㅜ ㅟ ㅡ ㅣ’는 단모음(單母音)으로 발음한다.
[관련 게시물]
제4항
‘ㅏ ㅐ ㅓ ㅔ ㅗ ㅚ ㅜ ㅟ ㅡ ㅣ’는 단모음(單母音)으로 발음한다.
[붙임] ‘ㅚ, ㅟ’는 이중 모음으로 발음할 수 있다.
표준 발음법 제4항은 국어 단모음의 수를 규정하고 있습니다. 국어 표준 발음으로는 10개의 단모음
을 인정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자음과 달리 단모음의 개수는 지역이나 세대에 따라 상당한 차이가 있습니다. 가령 방언에 따라 단모음의 수가 6개에서 10개까지 다양하며 같은 지역이라도 세대에 따라 차이가 나기도 합니다.
서북방언
동북방언
중부방언
서남방언
동남방언
해당 파트는 추후 보충하도록 하겠습니다.
그렇지만 서울말의 전통적인 발음을 기준으로 하여 10개의 단모음을 원칙으로 삼았습니다.
국어의 단모음을 발음상의 특징에 따라 분류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전설모음 |
후설모음 |
||
|
평순모음 |
원순모음 |
평순모음 |
원순모음 |
고모음 |
ㅣ |
ㅟ |
ㅡ |
ㅜ |
중모음 |
ㅔ |
ㅚ |
ㅓ |
ㅗ |
저모음 |
ㅐ |
|
ㅏ |
|
단모음의 분류는 크게 혀의 위치, 입술 모양에 따라 이루어집니다. 혀의 위치는 다시 전후 위치와 높이로 구별하기 때문에 실제로는 세 가지 기준에 따라 분류됩니다.
혀의 전후 위치에 따라 전설 모음과 후설 모음
혀의 높이에 따라 고모음, 중모음, 저모음
입술 모양에 따라 원순 모음과 평순 모음
혀의 전후 위치에 따라 전설 모음과 후설 모음이, 혀의 높이에 따라 고모음, 중모음, 저모음이, 입술 모양에 따라 원순 모음과 평순 모음이 구분됩니다.
이상의 단모음 중 ‘ㅐ’와 ‘ㅔ’는 현재 대부분의 세대에서 별개의 모음으로 구별되지 않고 있습니다. 즉 ‘ㅔ’와 ‘ㅐ’는 하나의 모음으로 합류가 일어난 것입니다. 그러나 이 두 모음을 구별하는 세대가 아직은 남아 있다는 점에서 완전히 합류되지 않았고, 전통적으로 이 두 모음은 단모음으로서의 지위를 안정적으로 유지해 왔기 때문에 구별하도록 규정하였습니다.
앞에서도 언급했듯이 단모음의 수는 유동적인 모습을 보입니다. 특히 전설 원순 모음에 해당하는 ‘ㅟ’와 ‘ㅚ’는 단모음 대신 이중 모음으로 발음하는 경우도 적지 않습니다. 이러한 발음 현실을 감안하여 [붙임]에서는 ‘ㅟ’와 ‘ㅚ’의 경우 단모음 대신 이중 모음으 로 발음하는 것도 허용하고 있습니다.
‘ㅟ’를 이중 모음으로 발음할 경우에는 반모음 ‘ㅜ [w]’와 단모음 ‘ㅣ’를 연속하여 발음하는 것과 같습니다. ‘ㅚ’를 이중 모음으로 발음할 경우에는 반모음 ‘ㅜ[w]’와 단모음 ‘ㅔ’를 연속하여 발음하는 것과 같아서 ‘ㅞ’와 동일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예컨대 ‘회’의 경우 ‘ㅚ’를 단모음으로 발음하는 [회]와 이중 모음으로 발음하는 [훼]가 모두 표준 발음으로 인정됩니다.
'어문규범 > 표준 발음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표준 발음법 제3장 음의 길이 제6항 모음의 장단을 구별하여 발음하되,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나타나는 것을 원칙으 로 한다. (0) | 2020.05.25 |
---|---|
표준 발음법 제2장 자음과 모음 제5항 ‘ㅑ ㅒ ㅕ ㅖ ㅘ ㅙ ㅛ ㅝ ㅞ ㅠ ㅢ’는 이중 모음으로 발음한다. (0) | 2020.05.23 |
표준 발음법 제2장 자음과 모음 제3항 표준어의 모음은 다음 21개로 한다. (0) | 2020.05.21 |
표준 발음법 제2장 자음과 모음 제2항 표준어의 자음은 다음 19개로 한다. (0) | 2020.05.20 |
표준 발음법 제1장 총칙 제1항 표준 발음법은 표준어의 실제 발음을 따르되, 국어의 전통성과 합리성을 고려하여 정함을 원칙으로 한다. (0) | 2020.05.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