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 맞춤법 제5장 띄어쓰기 제2절 의존 명사, 단위를 나타내는 명사 및 열거하는 말 등 제45항 두 말을 이어 주거나 열거할 적
[관련 게시물]
제45항
두 말을 이어 주거나 열거할 적에 쓰이는 다음의 말들은 띄어 쓴다.
국장 겸 과장 열 내지 스물 청군 백군
책상, 걸상 등이 있다 이사장 및 이사들 사과, 배, 귤 등등
사과, 배 등속 부산, 광주 등지
① 겸(兼)
‘겸(兼)’은 한 가지 일 밖에 또 다른 일을 아울러 함을 뜻하는 한자어입니다.
아침 겸 점심 강당 겸 체육관 장관 겸 부총리
‘국장 겸 과장’과 같이 명사 사이에 쓰입니다.
구경도 할 겸 물건도 살 겸
‘겸’은 ‘뽕도 따고 임도 볼 겸’처럼 관형사형 어미 ‘-(으)ㄹ’ 뒤에 쓰여 관형어의 꾸밈을 받는 구조를 이루어 두 가지 이상의 동작이나 행위를 아울러 함을 나타내기도 합니다.
관형어의 꾸밈을 받기 때문에 의존 명사로 다루어지고 있습니다.
② 내지(乃至)
‘내지(乃至)’는 수량을 나타내는 말 사이에 쓰일 때는 ‘얼마에서 얼마까지’의 뜻을 나타내는 부사입니다. 그 외에는 ‘또는’의 뜻으로도 쓰입니다.
열 명 내지 스무 명
천 원 내지 이천 원
비가 올 확률은 50% 내지 60%이다.
산 내지 들에서만 자라는 식물
내지1(乃至)
「부사」
「1」 ((수량을 나타내는 말들 사이에 쓰여)) ‘얼마에서 얼마까지’의 뜻을 나타내는 말.
열 명 내지 스무 명.
천 원 내지 이천 원.
백 평 내지 이백 평.
비가 올 확률은 50% 내지 60%이다.
하루 내지 이틀만 기다려 보아라.
「2」 그렇지 않으면. =또는.
이것은 산 내지 들에서만 자라는 식물
이 정의를 보면 일반적으로 수량 사이에 쓰인다면 범위를, 그외의 경우라면 둘 중 하나 선택을 의미하는 단어입니다.
그러나 요즘은 이 내지의 쓰임에 혼동이 일어나고 있어 표현을 보다 명확히 할 수 있도록 바꾸는 것을 권장받고 있습니다.
12조 2항 내지 4항에 의거하여...
위 문장은 12조 2항에서부터 4항까지 3개 조항에 걸쳐라는 말이지만, 이 내지의 뜻을 또 다른 뜻인 '또는'으로 이해하여 12조 2항이나 4항에서 찾아보라는 말로 이해할 수도 있습니다.
③ 대(對)
아래와 같이 쓰이는 ‘대(對)’는 사물과 사물의 비나 대립을 나타내는 말로 의존 명사입니다.
한국 대 일본 남자 대 여자 5 대 3
반면 ‘같이 를 이루다’나 ‘너희 둘은 좋은 대가 되는구나’와 같이 쓰이는 ‘대’는 자립 명사로 쓰인 것입니다. 또한 ‘대-’가 고유 명사를 포함하는 다수 명사 앞에 붙어서 ‘그것을 상대로 한’, ‘그것에 대항하는’의 뜻을 더할 경우에는 접두사로 쓰인 것이라 뒤에 오는 말에 붙여 씁니다.
대일(對日) 무역 대국민 담화 대중국 정책
④ 및
‘및’은 ‘그리고, 그 밖에, 또’의 뜻으로 문장에서 같은 종류의 성분을 연결할 때 쓰는 부사입니다.
원서 교부 및 접수 사과, 배 및 복숭아
이 밖에도 두 말을 이어 주는 말로서 둘 이상의 것 중 하나임을 나타내는 ‘또는, 혹은’과 같은 말이 있습니다.
수박 또는 참외 중학생 혹은 고등학생
⑤ 등(等), 등등(等等), 등속(等屬), 등지(等地)
사물을 열거할 때 쓰는 ‘등(等), 등등(等等), 등속(等屬), 등지(等地)’는 의존 명사로서 앞말과 띄어 씁니다.
ㄱ, ㄷ, ㅂ 등은 파열음에 속한다.
과자, 과일, 식혜 등등 먹을 것이 많다
충주, 청주, 전 등지로 돌아다녔다.
여러 개를 열거하지 않고 하나만 제시한 뒤에 ‘등’을 쓸 때에도 앞말과 띄어 씁니다. 표면에 드러나 있지는 않지만 제시한 것 외에도 같은 종류의 것이 더 있음을 나타냅니다.
지나친 흡연은 폐암 등을 일으킨다.
‘따위’도 앞말과 띄어 쓴다.
배추, 상추, 무 따위 너 따위가 감히…….
'어문규범 > 한글 맞춤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글 맞춤법 제5장 띄어쓰기 제3절 보조 용언 제47항 보조 용언 (0) | 2020.04.13 |
---|---|
한글 맞춤법 제5장 띄어쓰기 제2절 의존 명사, 단위를 나타내는 명사 및 열거하는 말 등 제46항 단음절로 된 단어가 연이어 나타날 적 (0) | 2020.04.13 |
한글 맞춤법 제5장 띄어쓰기 제2절 의존 명사, 단위를 나타내는 명사 및 열거하는 말 등 제44항 수를 적을 적 (0) | 2020.04.11 |
한글 맞춤법 제5장 띄어쓰기 제2절 의존 명사, 단위를 나타내는 명사 및 열거하는 말 등 제43항 단위를 나타내는 명사 (0) | 2020.04.11 |
한글 맞춤법 제5장 띄어쓰기 제2절 의존 명사, 단위를 나타내는 명사 및 열거하는 말 등 제42항 의존 명사 (0) | 2020.04.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