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준어 사정 원칙 제3장 어휘 선택의 변화에 따른 표준어 규정 제2절 한자어 제21항 고유어 계열의 단어가 널리 쓰이고 그에 대응되는 한자어 계열의 단어가 용도를 잃게 된 것은, 고유어 계열..
[관련 게시물]
제21항
고유어 계열의 단어가 널리 쓰이고 그에 대응되는 한자어 계열의 단어가 용도를 잃게 된 것은, 고유어 계열의 단어만을 표준어로 삼는다.(ㄱ을 표준어로 삼고, ㄴ을 버림.)
ㄱ ㄴ 비 고
가루-약 말-약
구들-장 방-돌
길품-삯 보행-삯
까막-눈 맹-눈
꼭지-미역 총각-미역
나뭇-갓 시장-갓
늙-다리 노-닥다리
두껍-닫이 두껍-창
떡-암죽 병-암죽
마른-갈이 건-갈이
마른-빨래 건-빨래
메-찰떡 반-찰떡
박달-나무 배달-나무
밥-소라 식-소라 큰 놋그릇.
사래-논 사래-답 묘지기나 마름이 부쳐 먹는 땅.
사래-밭 사래-전
삯-말 삯-마
성냥 화-곽
솟을-무늬 솟을-문(∼紋)
외-지다 벽-지다
움-파 동-파
잎-담배 잎-초
잔-돈 잔-전
조-당수 조-당죽
죽데기 피-죽 ‘죽더기’도 비표준어임.
지겟-다리 목-발 지게 동발의 양쪽 다리.
짐-꾼 부지-군(負持-)
푼-돈 분-전/푼-전
흰-말 백-말/부루-말 ‘백마’는 표준어임.
흰-죽 백-죽
단순히 한자어라는 이유로 표준어에서 제외되는 것은 아닙니다. 한자 혹은 한자가 들어가 있는 어휘 중 현대에 쓰이지 않는 말이 표준어에서 제외되는 것입니다.
표준어 사정 원칙 제21항에서는 그러한 말들을 별도로 보였습니다.
① 가루약 / 말약(X)
‘가루약(--藥)’과 ‘말약(末藥)’ 중에서 ‘말약’은 거의 쓰이지 않는 말이므로 표준어에서 제외되었습니다. 그러나 ‘가루차/말차’, ‘계핏가루/계피말’ 등에서는 ‘말(末)’이 쓰인 말도 표준어입니다.
한자어 말(末)
한자어 末은 한자의 6가지 제자 원리(六書 - 상형(象形), 지사(指事), 회의(會意), 형성(形聲), 전주(轉注), 가차(假借)) 중 지사(指事)문자로, 나무[木] 위쪽에 一을 길게 그어 나무의 위쪽, 곧 나무 끝을 가리킵니다. 그리고 이 의미를 기본 의미로 하여 다음과 같은 파생 의미를 만들어 냅니다.
01. 끝.
02. 지엽(枝葉). 중요하지 아니한 부분.
03. 신하. 백성.
04. 난세(亂世).
05. 자손. 후예.
06. 상공업(商工業).
07. 사지(四肢). 수족(手足).
08. 등. 가슴과 배의 반대쪽.
09.마침내.
10. 낮다. 천함.
11. 가루.
12. 얇다. 박함.
13. 칠하다. 문지름.
14. 없다.
15. 지우다.
위에서 우리는 말(末)자가 가루를 뜻하는 의미도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말(末)이 가루 의미로 쓰인 단어들을 확인해봅시다.
말(末)이 가루 의미로 쓰인 단어
계말(桂末), 계피말(桂皮末), 골탄-말(骨炭末), 극세말(極細末), 녹말(綠末), 두말(頭末), 말다(末茶), 말약(末藥), 말제(末劑), 말차(末차), 목말(木末), 백자말(柏子末), 분말(粉末), 세말(細末), 송말(松末), 아연말(亞鉛末), 양진말(洋眞末), 용담말(龍膽末), 유황말(硫黃末), 임자말(荏子末), 진말(眞末), 천초말(川椒末), 추말(麤末), 탄말(炭末), 태말(太末), 호초말(胡椒末)
참고
동의어
계핏가루 : 계말(桂末), 계피-말(桂皮末)
가루차: 말다(末茶), 말차(末차)
쉬운 우리말 - 말(末)이 가루 의미로 쓰인 단어
계말(桂末) : 계핏가루
계피말(桂皮末) : 계핏가루
골탄말(骨炭末) : 골탄을 빻아서 염산과 더운물로 여러 번 씻은 후 정제한 검은 가루
극세말(極細末) : 매우 곱고 보드랍게 만든 가루
녹말(綠末) : 감자, 고구마, 물에 불린 녹두 따위를 갈아서 가라앉힌 앙금을 말린 가루
두말(頭末) : 약을 가루 낼 때 체로 쳐서 맨 처음에 나온 가루
말다(末茶) : 가루차 - 차나무의 애순을 말려 가루로 만든 차
말약(末藥) : 가루약
말제(末劑) : 가루약
말차(末차) : 가루차 - 차나무의 애순을 말려 가루로 만든 차
목말(木末) : 메밀가루
백자말(柏子末) : 잣가루
분말(粉末) : 가루
세말(細末) : 아주 곱게 가루를 빻음. 또는 그 가루
송말(松末) : 솔가루
아연말(亞鉛末) : 아연 가루
양진말(洋眞末) : 양밀가루
용담말(龍膽末) : 용담가루
유황말(硫黃末) : 황가루
임자말(荏子末) : 깨고물
진말(眞末) : 밀가루
천초말(川椒末) :조핏가루
추말(麤末) :굵은 가루
탄말(炭末) : 탄가루 숯이나 연탄, 석탄 따위가 부스러진 가루
태말(太末) :콩가루
호초말(胡椒末) :후춧가루
② 잎담배 / 잎초(X)
‘잎담배’와 ‘잎초(-草)’ 중에서 ‘잎초’는 거의 쓰이지 않는 말이므로 표준어에서 제외하였습니다. 그러나 ‘잎담배’와 같은 의미인 ‘엽초(葉草)’, ‘초담배(草--)’ 등에서는 ‘초(草)’가 쓰인 말도 표준어입니다.
③ 흰말 / 백말(X), 흰죽 / 백죽(白粥)(X)
‘흰말’과 ‘백말(白-)’, ‘흰죽’과 ‘백죽(白粥)’ 중에서 ‘백말, 백죽’은 거의 쓰이지 않는 말이므로 표준어에서 제외되었습니다. 그러나 ‘백마(白馬)’, ‘백나비(白--)’, ‘백모래(白--)’ 등에서는 ‘백(白)’이 쓰인 말도 표준어입니다.
백나비(白나비)
발음 : [뱅나비]
『동물』 나비목 흰나빗과의 곤충을 통틀어 이르는 말.
동의어 : 흰나비, 백접(白蝶)
백모래(白모래)
발음 : [뱅모래]
빛깔이 희고 깨끗한 모래.
동의어 : 흰모래, 백사(白沙/白砂), 소사(素沙/素砂)
'어문규범 > 표준어 사정 원칙' 카테고리의 다른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