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준어 사정 원칙 제2장 발음 변화에 따른 표준어 규정 제5절 복수 표준어 제19항 어감의 차이를 나타내는 단어 또는 발음이 비슷한 단어들이 다 같이 널리 쓰이는 경우에 는, 그 모두를 표준어..
[관련 게시물]
제19항
어감의 차이를 나타내는 단어 또는 발음이 비슷한 단어들이 다 같이 널리 쓰이는 경우에 는, 그 모두를 표준어로 삼는다.(ㄱ, ㄴ을 모두 표준어로 삼음.)
ㄱ ㄴ 비 고
거슴츠레-하다 게슴츠레-하다
고까 꼬까 ~신, ~옷.
고린-내 코린-내
교기(驕氣) 갸기
구린-내 쿠린-내
꺼림-하다 께름-하다
나부랭이 너부렁이 교만한
표준어 사정 원칙 제19항은 어감의 차이를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되어 복수 표준어로 인정된 단어들을 보여줍니다. 어감의 차이가 있다는 것은 엄히 별개의 단어라고 할 근거가 될 수도 있으나, 기원을 같이하는 단어이면서 그 어감의 차이가 미미한 것이어서 복수 표준어로 처리한 것입니다.
① ‘고까/꼬까’
‘고까/꼬까’는 알록달록하게 곱게 만든 아이의 옷이나 신발 등을 이르는 말입니다.
‘고까’는 ‘때때’와 복수 표준어 관계에 있습니다. 따라서 ‘고까신/꼬까신/때때신’, ‘고까옷/ 꼬까옷/때때옷’이 모두 표준어로 인정됩니다.
② ‘고린내/코린내’ - ‘구린내/쿠린내’
‘고린내/코린내’보다 다소 큰 느낌을 주는 ‘구린내/쿠린내’도 복수 표준어입니다.
‘고리다/코리다’, ‘구리다/쿠리다’ 역시 모두 표준어입니다.
③ ‘나부랭이/너부렁이’
‘나부랭이’는 ‘나부랑이’에서 온 말입니다.
표준어 규정 제9항에서 ‘ㅣ’ 역행 동화를 인정하지 않았지만, 이 경우에는 언어 현실에서 압도적으로 ‘ㅣ’ 역행 동화가 된 ‘나부랭이’를 많이 쓰므로 ‘나부랭이’가 표준어로 정했습니다.
‘ㅣ’ 모음 역행 동화와 관련하여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이와 비슷한 처리를 한 말로 ‘냄비, 새내기, 풋내기’ 등을 들 수 있습니다.
‘ㅣ’ 모음 역행 동화가 표준어로 인정된 예외적인 경우의 단어들
꼬챙이 / -내기(접사) / (불을) 댕기다 / -쟁이(기술자가 아닌 경우) / 냄비 / 올챙이 / (내)동댕이치다
한편 ‘나부랭이/너부렁이’에서 ‘나부랭이’에 견주어 ‘너부렝이’를 표준어로 삼지 않은 것은 언어 현실이 아직 거기까지 이르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였기 때문입니다.
'어문규범 > 표준어 사정 원칙' 카테고리의 다른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