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준어 사정 원칙 제2장 발음 변화에 따른 표준어 규정 제2절 모음 제8항 양성 모음이 음성 모음으로 바뀌어 굳어진 다음 단어는 음성 모음 형태를 표준어로 삼는다.
[관련 게시물]
제8항
양성 모음이 음성 모음으로 바뀌어 굳어진 다음 단어는 음성 모음 형태를 표준어로 삼는다.(ㄱ을 표준어로 삼고, ㄴ을 버림.)
ㄱ ㄴ 비 고
깡충-깡충 깡총-깡총 큰말은 ‘껑충껑충’임.
-둥이 -동이 ←童-이. 귀-, 막-, 선-, 쌍-, 검-, 바람-, 흰-.
발가-숭이 발가-송이 센말은 ‘빨가숭이’, 큰말은 ‘벌거숭이, 뻘거 숭이’임.
보퉁이 보통이
봉죽 봉족 ←奉足. ~꾼, ~들다.
뻗정-다리 뻗장-다리
아서, 아서라 앗아, 앗아라 하지 말라고 금지하는 말.
오뚝-이 오똑-이 부사도 ‘오뚝-이’임.
주추 주초 ←柱礎. 주춧-돌.
다만, 어원 의식이 강하게 작용하는 다음 단어에서는 양성 모음 형태를 그대로 표준어로 삼는다.(ㄱ을 표준어로 삼고, ㄴ을 버림.)
ㄱ ㄴ 비 고
부조(扶助) 부주 ~금, 부좃-술.
사돈(査頓) 사둔 밭~, 안~.
삼촌(三寸) 삼춘 시~, 외~, 처~.
제8항
양성 모음이 음성 모음으로 바뀌어 굳어진 다음 단어는 음성 모음 형태를 표준어로 삼는다.(ㄱ을 표준어로 삼고, ㄴ을 버림.)
ㄱ ㄴ 비 고
깡충-깡충 깡총-깡총 큰말은 ‘껑충껑충’임.
-둥이 -동이 ←童-이. 귀-, 막-, 선-, 쌍-, 검-, 바람-, 흰-.
발가-숭이 발가-송이 센말은 ‘빨가숭이’, 큰말은 ‘벌거숭이, 뻘거 숭이’임.
보퉁이 보통이
봉죽 봉족 ←奉足. ~꾼, ~들다.
뻗정-다리 뻗장-다리
아서, 아서라 앗아, 앗아라 하지 말라고 금지하는 말.
오뚝-이 오똑-이 부사도 ‘오뚝-이’임.
주추 주초 ←柱礎. 주춧-돌.
우리말에는 양성 모음은 양성 모음끼리, 음성 모음은 음성 모음끼리 어울리는 모음 조화(母音調和) 현상이 있습니다. 중세 국어에서는 이 모음조화가 지금보다 엄격하게 지켜졌으며 적용 범위 또한 넓었습니다.
첫째, 한 형태소 안
ᄀᆞᄅᆞᆷ(강), 나모(나무), 다ᄉᆞᆺ(다섯), 놀애(노래), 가마괴(까마귀), 구룸(구름), 허믈(허물), 여숫(여섯), 번게(번개)
둘째, 명사에 조사가 붙을 때
ᄀᆞᄅᆞᆷ-ᄋᆞᆯ, 구룸-을, 놀애-ᄂᆞᆫ, 번게-는, 다ᄉᆞᆺ-ᄋᆞ로 여슷-으로, 낮-ᄋᆡ, 밑-의
셋째, 동사나 형용사의 어간에 '아/어, 오/우, ᄋᆡ/으'로 시작하는 어미가 붙을 때
막-아, 먹-어, 막-오려, 먹-우려, 막-ᄋᆞ니, 먹-으니
넷째, 접미사 '-ᄋᆡ/의(명사 만듦), -ᄇᆞ/브-(형용사 만듦)', -오/우(부사 만듦), -오/우-(사동사 만듦) 등이 붙을 때
명사화
높-ᄋᆡ→ 노ᄑᆡ(높이), 길-의-기릐(길이)
형용사화
앓-ᄇᆞ-다→ 알ᄑᆞ(아프다), 슳-브-다→ 슬프다.
부사화
돌-오→ 도로, 넘-우→ 너무,
사동사화
돋-오-다→도도다(돋우다), 기울-우-다→ 기울우다(기울이다)
모음조화가 엄격하게 지켜졌던 중세국어 시기에도 예외는 있었습니다.
한 형태소 안
몬져(먼저), 어마님(어머님), 여라(여러), 벼로(벼루)
명사에 조사가 붙을 때
밧긔'(밖에)
동사나 형용사의 어간에 '아/어, 오/우, ᄋᆡ/으'로 시작하는 어미가 붙을 때
펴-아, 없-아, 덜-오-ㄹ디니→ 더롤디니(덜 것이니), 엱-ᄋᆞ니(얹으니)
접미사 '-ᄋᆡ/의(명사 만듦), -ᄇᆞ/브-(형용사 만듦)', -오/우(부사 만듦), -오/우-(사동사 만듦) 등이 붙을 때
위와 같이 개별적 예외가 존재했을 뿐만 아니라 한자어나 두 형태소가 결합하여 만들어진 복합어에서는 모음조화가 지켜지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었습니다.
즁ᄉᆡᇰ(衆生), ᄒᆡᇰ뎍(行蹟), ᄆᆞᆮ-누의(맏누이), 목-숨, 듣-보다, -앒-셔다(앞서다), 낳-들다→ 나틀다(나이 들다), ᄒᆞᆫ-두(한두)
출처 : 다음백과 모음조화 항목 발췌
또한 양성 모음과 음성 모음의 세력이 크게 차이가 나지 않았으나 근대를 거치면서 음성 모음의 세력이 급격히 커졌습니다.
예컨대 ‘막-아, 좁-아’, ‘접-어, 굽-어, 재-어, 세-어, 괴-어, 쥐-어’ 등의 어미 활용에서도 음성 모음의 우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양성 모음(오·아)
막아, 좁아, 보아, 가(가아)
음성 모음(우·어·이·에·애·위·외·으)
접어, 굽어, 재어, 세어, 괴어, 쥐어, 주어, 서(서어), 믿어, 깨어, 쉬어,되어, 늦어, 꺼(끄어)
심지어는 한 단어 내부에서도 양성 모음이 일관되게 나타나지 않고 양성 모음과 음성 모음이 섞여 나타나는 일이 많습니다.
깡충깡충, 오뚝하다, 뚝딱뚝딱, 아름다워, 고마워
이 조항은 그러한 음성 모음 우세 현상을 명시적으로 규정한 것입니다.
모음조화에[ 대한 보다 ㅍ자세한 내용은 추후 작성토록 하겠습니다.
① 깡충깡충
종래의 ‘깡총깡총’은 언어 현실을 반영하여
‘깡충깡충’으로 정했습니다. 이와 관련된 ‘강중강중, 깡쭝깡쭝’도 ‘강종강종, 깡쫑깡쫑’으로 쓰지 않습니다. ‘깡충깡충, 강중강중,
깡쭝깡쭝’의 음성 모음 대응형은 각각 ‘껑충껑충, 겅중겅중, 껑쭝껑쭝’입니다.
그러나 주의할 점은 ‘껑충하다’와 짝을 이루는 말은
‘깡총하다’로서 ‘깡충하다’가 오히려 비표준어입니다.
표준국어대사전에서 깡총깡총을 찾으면 깡충깡충으로 링크를 걸어놓았을 뿐 비표준어임을 알려주지는 않고 있습니다. 우리말샘에서처럼 규범표기는 깡충깡충이라고 알려주는 것이 사전 접속자에게 보다 좋을 것 같습니다.
② -둥이
‘-동이’도 음성 모음화를 인정하여 ‘-둥이’를 표준어로 삼았습니다. ‘-둥이’의 어원은 아이 ‘동(童)’을 쓴 ‘동이(童-)’이지만 현실 발음에서 멀어진 것으로 인정되어 ‘-둥이’ 를 표준으로 삼았습니다.
그에 따라 ‘귀둥이, 막둥이, 쌍둥이, 바람둥이, 흰둥이’에서 모두 ‘-둥이’를 씁니다. 다만, ‘쌍둥이’와는 별개로 ‘쌍동밤’과 같은 단어에서는 한자어 ‘쌍동 (雙童)’의 발음이 살아 있는 것으로 판단되므로 ‘쌍둥밤’으로 쓰지 않습니다.
또 살이 올라 보드랍고 통통한 아이를 뜻하는 ‘옴포동이’는 ‘옴포동하다’의 어근 ‘옴포동’에 ‘-이’ 가 결합된
말로서 ‘-둥이’와 관련이 없으므로 ‘옴포둥이’와 같이 쓰지 않습니다.
③ 발가숭이
‘발가숭이’와 마찬가지로 ‘빨가숭이’도 양성 모음 뒤에 음성 모음이 결합한 형태 를 표준어로 삼습니다. 이에 대응하는 짝은 ‘벌거숭이, 뻘거숭이’입니다. 그러나 ‘애송이’는 ‘애숭이’를 인정하지 않습니다.
④ 보퉁이
물건을 보에 싸서 꾸려 놓은 것을 뜻하는 ‘보퉁이’와 함께 눈두덩의 불룩한 부분을 뜻하는 ‘눈퉁이’나 미련한 사람을 낮추어
가리키는 ‘미련퉁이’ 등에서도 ‘-퉁이’를 씁니다. 그러나 ‘고집통이, 골통이’에서는 ‘통이’를 쓰는데, 이는 ‘고집통이,
골통이’가 각각 ‘고집통’, ‘골통’에 ‘-이’가 붙은 말이기 때문입니다.
⑤ 봉죽 / 주추
‘봉족(奉足), 주초(柱礎)’는 한자어로서의 형태를 인식하지 않고 쓰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봉죽, 주추’와 같이 음성 모음 형태를 인정했습니다.
⑥ 뻗정다리
‘뻗장다리’를 취하지 않고 ‘뻗정다리’를 표준어로 삼은 것은 언어 현실을 수용한 것입니다.
⑦ 아서, 아서라
금지(禁止)의 뜻을 나타내는 ‘앗아, 앗아라’는 빼앗는다는 원뜻과는 멀어져서 단지 하지 말라는 뜻이 되었는데, 현실 발음에
따라 음성 모음 형태를 취하여 ‘아서, 아서라’로 한 것입니다. 어원 의식이 희박해졌으므로 어법에 따라 ‘앗어, 앗어라’와 같이
적지 않고 ‘아서, 아서라’와 같이 적습니다.
⑧ 오뚝이
‘오똑이’도 명사나 부사로 다 인정하지 않고 ‘오뚝이’만을 표준어로 정하였습니다. ‘오똑하다’도 취하지 않고 ‘오뚝하다’를 표준어로 삼습니다.
故 함태호 명예 회장이 창립한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식품 회사 오뚜기는 이 오뚝이에서 따 명명된 것입니다. 한글 맞춤법에 비추어 보면 오뚜기는 비 표준어입니다. 그러나 식품 회사 오뚜기는 회사 이름으로써 고유 명사이므로 한글 맞춤법의 적용 대상이 아닙니다.
다만, 어원 의식이 강하게 작용하는 다음 단어에서는 양성 모음 형태를 그대로 표준어로 삼는다.(ㄱ을 표준어로 삼고, ㄴ을 버림.)
ㄱ ㄴ 비 고
부조(扶助) 부주 ~금, 부좃-술.
사돈(査頓) 사둔 밭~, 안~.
삼촌(三寸) 삼춘 시~, 외~, 처~.
해당 조항이 발표되었을 당시에는 적지 않은 언중들이 ‘부주, 사둔, 삼춘’을 사용했기에 따로 규정한 것으로 보이는데 이제 언중들 사이에서 ‘부주, 사둔, 삼춘’을 사용하는 모습은 거의 찾기 힘들어졌습니다.
'어문규범 > 표준어 사정 원칙' 카테고리의 다른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