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 맞춤법 제4장 형태에 관한 것 제1절 체언과 조사 제14항 체언과 조사

어문규범/한글 맞춤법|2019. 2. 26. 10:00
반응형



제14항

체언은 조사와 구별하여 적는다.


떡이         떡을         떡에         떡도         떡만

손이         손을         손에         손도         손만

팔이         팔을         팔에         팔도         팔만

밤이         밤을         밤에         밤도         밤만

집이         집을         집에         집도         집만

옷이         옷을         옷에         옷도         옷만

콩이         콩을         콩에         콩도         콩만

낮이         낮을         낮에         낮도         낮만

꽃이         꽃을         꽃에         꽃도         꽃만

밭이         밭을         밭에         밭도         밭만

앞이         앞을         앞에         앞도         앞만

밖이         밖을         밖에         밖도         밖만

넋이         넋을         넋에         넋도         넋만

흙이         흙을         흙에         흙도         흙만

삶이         삶을         삶에         삶도         삶만

여덟이      여덟을      여덟에      여덟도      여덟만

곬이         곬을         곬에        곬도         곬만

값이         값을         값에         값도         값만




제14항

체언은 조사와 구별하여 적는다.


떡이         떡을         떡에         떡도         떡만

손이         손을         손에         손도         손만

팔이         팔을         팔에         팔도         팔만

밤이         밤을         밤에         밤도         밤만

집이         집을         집에         집도         집만

옷이         옷을         옷에         옷도         옷만

콩이         콩을         콩에         콩도         콩만

낮이         낮을         낮에         낮도         낮만

꽃이         꽃을         꽃에         꽃도         꽃만

밭이         밭을         밭에         밭도         밭만

앞이         앞을         앞에         앞도         앞만

밖이         밖을         밖에         밖도         밖만

넋이         넋을         넋에         넋도         넋만

흙이         흙을         흙에         흙도         흙만

삶이         삶을         삶에         삶도         삶만

여덟이      여덟을      여덟에      여덟도      여덟만

곬이         곬을         곬에        곬도         곬만

값이         값을         값에         값도         값만


실질 형태소인 체언과 형식 형태소인 조사를 분리하여 적음으로써 체언과 조사의 형태를 고정시키는 조항입니다.  용언의 어간과 어미를 구별하여 적는다고 규정한 제15항과 함께 한긇의 표의주의 성격을 확인할 수 있는 조항입니다.

예를 들어 ‘값[價]’에 다양한 조사를 붙여 문법적 요소를 부여한다고 했을 때 이것들을 소리 나는 대로 적으면 다음과 같이 됩니다.

갑씨     갑쓸     갑또     감만

'값이, 값을, 값도, 값만'의 발음을 위처럼 그대로 표기에 적용한다면 우리는 하나의 의미를 가지는 형태소가 '값, 갑, 감' 등 여러 가지로 표기되어 실질 형태소와 형식 형태소 각각의 본모양이 무엇인지, 둘의 경계가 어디인지를 알아보기가 어렵게 됩니다.

표현하고자 하는 의미는 값[價]이지만 이 체언에 말과 말사이 문법적 관계를 표현하기 위해 첨가되는 조사에 따라 그 표기 형태가 위처럼 불규칙하여 우리가 한번에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글로 표현된 문장에서 특정 의미에 해당하는 단어를 이해하기 위해 연결된 형태소에 따라 다양한 동의이음어를 알고 있어야 한다는 의미가 됩니다. 이 얼마나 번거롭겠습니까?

값이     값을     값도     값만

그러나 위처럼 각 형태소의 표기 형태를 유일값으로 고정한다면 우리는 실질형태소와 형식형태소가 뚜렷이 구별되어 의미 파악이 손쉬워집니다. 이로 인해 우리는 독서 능률을 높일 수 있습니다.

이것은 형식 형태소도 마찬가지입니다. 예를 들어 주격 조사 '이'를 예로 들어 봅시다.

영(0)이    고시    겨기    꼬치    갑씨

영(0)이    곳이    격이    꼬치    값이

주격조사 '이'가 체언과 결합할 때 만약 체언과 조사를 분리하여 적지 아니하면 이 주격 조사 '이'는 정말 다양한 모양을 지니기 됩니다. 위 의 예는 그 다양한 예 중 일부에 불과한 것이지요.

체언과 조사가 분리되지 않은 문장을 읽는다면 우리는 표기에서 각 형태소의 본래 형태를 추측, 의미를 파악해야 하는 과정을 거치게 되므로 굉장히 독해 능률이 현저하게 떨어지게 되며, 때에 따라서는 의미 전달에 왜곡이 심화될 수도 있습니다.

한글 맞춤법 제14항 체언과 조사를 구별하여 적는다는 규정은 결국은 각 형태소의 의미과 형태를 1대 1로 대응시켜 글을 통한 의사소통의 신속성과 정확성을 확보하고 전달 내용의 왜곡을 최소화하기 위한 언어 사용의 합리성을 추구한 것이라 볼 수 있습니다. 다음에 논하게 될 제15항과 함께 한글 맞춤법의 표의주의적 성격을 잘 드러내는 조항이라 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