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 맞춤법 제4장 형태에 관한 것 제4절 합성어 및 접두사가 붙은 말 제28항 끝소리가 ‘ㄹ’인 말과 딴 말이 어울릴 적에 ‘ㄹ’ 소리가 나지 아니하는 것
[관련 게시물]
제28항
끝소리가 ‘ㄹ’인 말과 딴 말이 어울릴 적에 ‘ㄹ’ 소리가 나지 아니하는 것은 아니 나는 대로 적는다.
다달이(달-달-이) 따님(딸-님) 마되(말-되)
마소(말-소) 무자위(물-자위) 바느질(바늘-질)
부삽(불-삽) 부손(불-손) 싸전(쌀-전)
여닫이(열-닫이) 우짖다(울-짖다) 화살(활-살)
제28항
끝소리가 ‘ㄹ’인 말과 딴 말이 어울릴 적에 ‘ㄹ’ 소리가 나지 아니하는 것은 아니 나는 대로 적는다.
다달이(달-달-이) 따님(딸-님) 마되(말-되)
마소(말-소) 무자위(물-자위) 바느질(바늘-질)
부삽(불-삽) 부손(불-손) 싸전(쌀-전)
여닫이(열-닫이) 우짖다(울-짖다) 화살(활-살)
한글 맞춤법 제28항은 국어의 음운 현상 중 이른바 'ㄹ' 탈락 현상과 연관되어 있습니다. 'ㄹ'탈락은 ‘ㄹ’ 받침을 가진 말이 합성어나 파생어를 형성할 때나 용언 어간 뒤에 어미가 결합할 때 ‘ㄹ’ 받침이 발음되지 않는 경우를 일컫습니다.
이중 용언 어간 뒤에 어미가 결합할 때 ‘ㄹ’ 받침이 발음되지 않는 경우는 이미 한글 맞춤법 제18항 1. 어간의 끝 ‘ㄹ’이 줄어질 적에서 이른바 'ㄹ' 규칙 활용으로 다룬 바 있습니다.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위 링크를 참고하시기 바라며 이번 글은 한글 맞춤법 제28항에 초점을 두고 이야기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단어 형성(단어의 파생과 합성)에서 'ㄹ' 탈락은 크게 2가지 형태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1. [ㄹ] 받침이 [ㄴ, ㄷ,ㅅ, ㅈ] 소리 앞에서 탈락되는 경우
2. 한자 '불(不)'의 끝소리 [ㄹ]이 그 다음 음절의 첫소리 [ㄷ, ㅈ] 앞에서 탈락하는 경우
28항은 이중 첫 번째에 대해 그 초점을 두고 있습니다.
역사적으로 ‘ㄹ’은 ‘ㄴ, ㄷ, ㅅ, ㅈ’ 앞에서 탈락하는 일이 적지 않습니다.
ㄴ 앞
나날이 ← 날+날이
다달이 ← 달+달이
마소 ← 말+소
무논 ← 물+손
부넘기 ← 불+넘기
아드님 ← 아들+님
따님 ← 딸+님
ㄷ 앞
차돌 ← 찰+돌
ㅅ 앞
무쇠 ← 물+쇠
ㅈ 앞
무자위 ← 물+자위
그러나 이 'ㄹ' 탈락은 '수의적 변동'으로 예외도 굉장히 많이 찾아 볼 수 있습니다.
ㄴ 앞 - 유음화(< 자음동화)
물난리[물랄리] ← 물+난리
불놀이[불로리] ← 불+놀이
칼날[칼랄] ← 칼+날
ㄷ 앞 - 경음화(= 된소리)
물동이[물똥이] ← 물+동이
발등[발뜽] ← 발+등
ㅅ 앞 - 경음화(= 된소리)
철새[철쌔] ← 철+새
물새[물쌔] ← 물+새
ㅈ 앞 - 경음화(= 된소리)
물지게[물찌게] ← 물+지게
술잔[술짠] ← 술+잔
위 예들을 대조해보면 다음과 같은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ㄴ, ㄷ, ㅅ, ㅈ’ 앞에서 'ㄹ'이 탈락하는 경우는 ‘ㄴ, ㄷ, ㅅ, ㅈ’ 발음이 온전히 나고, ‘ㄴ, ㄷ, ㅅ, ㅈ’ 앞의 'ㄹ'이 탈락하지 않는 경우에는 음운 환경에 따라 자음동화 중 유음화가 일어나거나 경음화(= 된소리되기)가 일어난다는 것입니다.
이 세 형태는 발음 경제를 위해 선택된 방법들입니다. 일반적으로 자음과 모음이 차례로 연결된 것이 음절경계가 분명하면 화자가 발음하기도 좋고 청자가 알아듣기도 쉽지만, 자음이 계속되거나 모음이 계속될 경우는 발음하기가 어렵습니다.
이런 경우 보다 편한 발음을 위해 특정 자음이나 모음 또는 음절을 탈락시키거나, 조음위치가 같거나 유사한 다른 음운으로 발음을 바꾸거나, 된소리로 바꾸는 등의 음운 변동이 일어나게 되며 이러한 음운상의 변화가 표기에도 영향을 끼치곤 합니다.
-참고-
파생어나 합성어 등 복합어의 경우, 언제 경음화가 일어나고 또 언제 일어나지 않는지 뚜렷하게 밝혀진 바 없습니다.
예를 들어, 불고기의 경우 경음화가 일어나지 않지만 같은 합성어인 물고기는 [물꼬기]로 경음화가 일어나지만 경음화 조건이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한글 맞춤법 제28항과 관련하여 한자 ‘불(不)’이 후행어 첫소리 ‘ㄷ, ㅈ’ 앞에서 'ㄹ' 탈락하여 ‘부’로 읽히는 단어의 경우도 바뀐 대로 적습니다.
부당(不當), 부동(不同, 不凍, 不動), 부득이(不得已), 부등(不等), 부정(不正, 不貞, 不定), 부조리(不條理), 부주의(不注意)
-참고-
후행어 첫소리 ‘ㄷ, ㅈ’ 앞에서 한자 ‘불(不)’이 오는 경우에만 'ㄹ' 탈락이 일어나며 그외 한자어 '불'의 경우는 'ㄹ' 탈락이 일어나지 않습니다.
'어문규범 > 한글 맞춤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